Graduate students, S. W. Byun, J. H. Moon, T. S. Kim, H. E. Fu and E. J. Jeung attended 'Fall conference of the Korean Institute of Metals and Materials' held in Jeju, Korea on October 20 ~ 22, 2021
대학원생 변상원, 문준환, 김태순, 부홍은, 정은진이 2021년 10월 20~22일 제주도에서 개최된 대한금속재료학회 추계학술대회에 참석했다. 이번 학술대회에서 변상원, 문준환은 학생구두발표 우수상을 수상하였다.
다만, 수용액에서전기도금시경쟁반응인수소발생반응으로인해금속루테늄으로환원하기가어려운문제점이있었다. 그러나연구팀은도금액에수소발생을억제할수있는완충제와첨가제를사용하여다양한지름을갖는루테늄계나노선을제작할수있었다. 진공상태의정교한측정장비를이용하여루테늄나노선한가닥의저항을측정했고, 전자산란계수를도출했다.
Electrical resistivity evolution in electrodeposited Ru and Ru-Co nanowires Journal of Materials Science & Technology 105, 17-25. (2022) [DOI: https://doi.org/10.1016/j.jmst.2021.06.073]
Nanoscale ruthenium (Ru)-based materials are promising replacements for existing multilayered Cu interconnects in integrated circuits. However, it is not easy to apply the results of previously reported studies directly to the electrochemical damascene process because the previous studies have mainly focused on thin films by dry deposition. Here, we report the electrical resistivity and microstructure of electrodeposited Ru nanowires. We estimate that the resistivity value of a 10 nm diameter Ru nanowire to be 71.6 μΩ cm after analyzing the resistivity values of individual nanowires with various diameters. Furthermore, we investigate the electrical properties of RuxCo1-x nanowires where x is 0.04–0.99 at.% as possible replacements of the current TaN barrier structures. Over the entire composition range, the resistivity values of alloys are much lower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TaN. Additionally, Ru and Ru-alloy nanowires surrounded by dielectric silica are thermally stable after 450 °C heat treatment. Therefore, the nanoscale Ru and Ru-Co alloys possessing low resistivity values can be candidates for the interconnect and barrier materials, respectively.
고려대학교(총장 정진택) 공과대학 신소재공학부 김영근 교수 연구팀은 서울대 공과대학 재료공학부 남기태 교수 연구팀과 공동연구를 통해 기존 물 분해 촉매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중공 나노코일 복합체를 개발했다. 연구결과는 나노기술 분야 국제학술지 ‘스몰(Small)’ 표지 논문으로 선정됐으며, 9월 24일자로 온라인 게재됐다. 물 전기분해 반응은 전기를 이용해 청정에너지인 수소와 산소를 생성하는 친환경 에너지 전환 반응으로, 다가오고 있는 수소 경제에서 필수적인 공정으로 평가받고 있다. 자연계의 대표적인 물 분해 반응인 광합성에서는 망간과 칼슘을 기반으로 한 클러스터를 이용해 물 산화 반응을 진행하며, 이러한 망간-칼슘 클러스터에서 영감을 받아 귀금속 촉매를 대체할 수 있는 망간 기반 전기촉매가 개발됐다. 그러나, 여전히 높은 과전압으로 인해 성능 향상의 새로운 돌파구를 찾기 위한 연구가 꾸준히 진행돼왔다. 연구팀은 물 분자가 접촉하는 전기화학 촉매의 활성 자리(active site)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3차원 구조에서 가장 넓은 표면적을 가질 수 있는 나선 모양의 나노코일 형태에 집중했다. 연구진은 전기도금법으로 나노코일 형태를 합성한 후, 전기화학적 경로차와 물질 확산 속도 차이를 이용하여 단일 및 다성분 3d 전이금속 기반 무기질 중공 나노코일들을 합성했다. 그 중 망간 기반 중공 나노코일에 산화 망간 나노입자를 부착시켜 기존에 보고된 망간 기반 촉매에 비해 표면적 및 활성 자리 수를 크게 증가시킨 나노복합체를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연구팀은 "나선형 코일 구조에 나노입자들이 달라붙어 있는 새로운 나노구조는 간단한 방법만으로 전기촉매 성능을 효율적으로 증가시켜 기존과 다른 새로운 촉매 설계 방법론을 제시했다. 이외에도 중공 나노코일 구조체의 넓은 표면적과 활성자리 제어가 필요한 에너지·환경 및 바이오 분야로의 응용이 가능하다"고 연구의 의의를 설명했다. 이번 연구 성과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중견연구자 지원사업과 미래소재디스커버리사업의 지원으로 수행됐다.
▲ 중공 나노코일의 합성과정물질 이동의 속도 차이와 전기화학적 경로 차이를 이용한 중공 나노코일 합성 모식도 (a) 깨끗한 표면을 가진 단일 성분 CrPO4 중공 나노코일 (b) 거친 표면을 가진 다성분 MnOxP0.21 중공 나노코일▲ 망간 기반 중공 나노코일 복합체의 물 전기분해 촉매 특성(a) 망간 기반 중공 나노코일 복합체 형성 모식도 (b) 중성 pH 전해질에서의 물 전기분해 촉매 효율을 보여주는 순환 전류 그래프. 중공 나노코일 복합체(파란색 선)의 촉매 효율이 증가했음을 보여준다. (c) 전기화학적 활성 표면적 (Electrochemical active surface area; ECSA) 그래프. 중공 나노코일 복합체(파란색 선)의 기울기가 상승하여 활성 표면적이 증가했음을 보여준다. (자료=고려대)
Inorganic Hollow Nanocoils Fabricated by Controlled Interfacial Reaction and Their Electrocatalytic Properties Small 17, 2103575 (2021) [DOI:https://doi.org/10.1002/smll.202103575] The fabrication of 3D hollow nanostructures not only allows the tactical provision of specific physicochemical properties but also broadens the application scope of such materials in various fields. The synthesis of 3D hollow nanocoils (HNCs), however, is limited by the lack of an appropriate template or synthesis method, thereby restricting the wide-scale application of HNCs. Herein, a strategy for preparing HNCs by harnessing a single sacrificial template to modulate the interfacial reaction at a solid–liquid interface that allows the shape-regulated transition is studied. Furthermore, the triggering of the Kirkendall effect in 3D HNCs is demonstrated. Depending on the final state of the transition metal ions reduced during the electrochemical preparation of HNCs, the surface states of the binding anions and the composition of the HNCs can be tuned. In a single-component CrPO4 HNC with a clean surface, the Kirkendall effect of the coil shape is analyzed at various points throughout the reaction. The rough-surface multicomponent MnOxP0.21 HNCs are complexed with ligand-modified BF4-Mn3O4 nanoparticles. The fabricated nanocomposite exhibits an overpotential decrease of 25 mV at neutral pH compared to pure BF4-Mn3O4 nanoparticles because of the increased active surface area.
Graduate student Mr. T. H. Kim received the Korea University-Samsung electronics best paper award.
Journal Paper 김태현(Mr. T. H. Kim): Ruderman-Kittel-Kasuya-Yosida-type interfacial Dzyaloshinskii-Moriya interaction in heavy metal/ferromagnet heterostructures
대학원생 김태현, 윤석인, 이정규, 고한석이 2021년 7월 21~23일 온라인으로 진행된 한국자기학회 하계학술대회에 참석하였다. 이번 학술대회에서 대학원생 김태현은 우수 포스터 발표상을 수상하였다.
Graduate students Mr. T. H. Kim, Mr. S. I. Yoon, Mr. J. K. Lee, Mr. H. S. Ko attended the 2021 Korean Magnetics Society Summer Conference held online from July 21 to 23, 2021. Mr. T. H. Kim received the 'Best Poster Award'.
김태현(Mr. T. H. Kim): Ruderman-Kittel-Kasuya-Yosida-type interfacial Dzyaloshinskii-Moriya interaction in heavy metal/ferromagnet heterostructures
윤석인(Mr. S. I. Yoon): A Spin-Orbit Torque efficiency in W/CoFeB heterostructures with W-Nb alloys insertion layers
이정규(Mr. J. K. Lee): Analysis of magnetic and crystallographic properties of Mn-Ga thin films
고한석(Mr. H. S. Ko): Effect of Underlayer, CoFeB Composition and Annealing Temperature on Perpendicular Magnetic Anisotropy of CoFeB
Korea University The Granite Tower Research Award is given to professors who took the top 3% research achievements in the previous year. In addition, a related awards ceremony is held every year on May 5, Korea University Anniversary Day.
In particular, Professor Kim achieved the career grand slam by winning all three awards, the Granite Tower Lecture Award in 2005, the Granite Tower Technology Award in 2016, and receiving the Granite Tower Research Award in 2021.